
1. 감자 더뎅이병
감자에 주로 발생하는 더뎅이병은 괴경에 코르크층을 형성하는 병으로 감자의 상품 가치를 떨어뜨리는 병으로 익히 알려져있다.
증상으로는 감염 부위의 조직을 괴사시키고, 검은색의 코르크 모양을 이룬다.
이 코르크층은 중심부가 약간 파진 상태로 융기형 병반, 평상형 병반 그리고 함몰형 병반으로 나뉘어지며 여러 형태의 병반을 만든다.
특히 어린 조직은 파종 후 6~8주 사이에 병이 주로 발생하며, pH 5.2~8.0의 건조한 지역에서 병 발생률이 높고, 발병 적온은 30도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더뎅이병을 방제하는 것이 좋을까?

2. 감자 더뎅이병 방제방법
감자 더뎅이병은 괴경 발달 초기에 6주 정도 관수하여 토양 습도를 유지해주면 좋다.
이때 토양산도를 pH 5.2보다 낮게 맞춰준다면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또한 연작을 피하고 비 기주 작물로 돌려짓기를 하는 것이 좋으며, 다량의 미숙퇴비를 피하고, 무병씨감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화학적 방제방법도 있으니 농약을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3. 더뎅이병의 화학적 방제방법
농약안전정보시스템에서는 더뎅이병의 화학적 방제방법으로 "네마섹트, 미리탄, 쏘일킹, 캐스팅, 혹안나, 혹안나골드, 혹충탄, 후론사이드, 엑사이도"를 추천하고 있다.
각각의 농약들은 살균, 살충제로 분류되어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네마섹트를 예로들면, 10a당 40L를 사용하되, 정식 4주전에 1회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하니, 사용방법은 농약사용설명서를 읽어보고 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고, 혹시 잘 모르겠다면 농약상에 물어보고 하시는 것도 추천드린다.
따라서, 감자 더뎅이병을 그냥 방치하지 말고, 여러 방제방법들이 있으니 사용하여 안전한 수확하길 바란다.

'영농활용기술 > 영농활용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당도 구기자 주스 만드는 방법 (0) | 2023.08.29 |
---|---|
소비자가 선호하는 구기자차는?! 구기자 품종별 특성은?! (1) | 2023.08.28 |
리시안시스 경영비 2백만원 더 싸, 화훼농가 적극 추천! (0) | 2023.08.24 |
감자 균핵병이란?! 균핵병 방제방법은?! (0) | 2023.08.23 |
감자 겹둥근무늬병이란?! 방제 방법은? (2) | 2023.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