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농활용기술/영농활용기술

프리지아 -340만원 소득이 줄어, 재배 시 주의요망

대표 사진

 

 

1. 프리지아란?!

 

프리지아는 붗꽃과에 속하는 여러살이해풀로, 과상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꽃입니다.

색깔은 노란색이 대표적이지만, 흰색, 빨간색, 자주색, 분홍색 등 여러 가지 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꽃말은 '천진난만'과 '자기자랑', '청함'과 '순결', '차분한 사랑'과 '영원한 우정' 등이 있습니다.

현재는 화훼작물로 국산품종이 보급되어 농가에 재배확대되고 있으며, 수익을 기대해볼 수 있는 작물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프리지아를 재배하면 얼마나 경제적인 효과를 받을 수 있을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1. 프리지아 사진

 

2. 프리지아의 수익성

 

농촌진흥청에서는 프리지아의 수익성에 대해서 연구를 하였습니다.

먼저 2018년과 2021년의 수익성을 비교하였는데, 수입은 2백만원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와 더불어 중간재비와 경영비가 올라, 소득은 340만원 정도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피리지아를 재배할 경우, 소득이 전년보다 감소할 수 있음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프리지아의 수익성 비교>

구분 2018 2021 차이
총수입 22,158,000,(원) 20,029,412,(원) -2,128,588,(원)
중간재비 8,617,750(원) 9,422,534(원) 804,784(원)
경영비 11,673,290(원) 12,949,228(원) 1,275,938(원)
소득 10,484,710(원) 7,080,184(원) -3,404,526(원)
소득률 47.3 35.3 -12.0
출처, 농촌진흥청, 2022

 

경영비 품목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2021년 고용노동비가 3,526,693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외국인 근로자의 임금이 상승했기 때문으로 풀이가 되고, 감가상각비가 625,161원, 종자종묘가 255,237원 상승하였습니다.

이러한 점을 유념하셔서 프리지아를 재배할지 선택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림2. 프리지아 사진

 

3. 결론

 

2018년보다 2021년 프리지아 재배에 소득이 340만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원인으로는 고용노동비와 감가상각비 그리고 종자종묘비가 올라간 것이 원인으로 파악됩니다.

따라서 프리지아를 재배하길 희망하는 농가들은 이점을 유념하셨다가, 농업 경영에 활용하시기를 당부드립니다.

 

그림3. 프리지아 사진